삼채재배

삼채재배-1(제천삼채농원)삼채판매

어리실 2013. 12. 3. 08:00

 

 


 

삼채뿌리.삼채종근.삼채파는곳:  010-8935-0848

 


 

                  

 

                      삼채는 반그늘의 환경이 좋습니다. 이는 한여름 폭염으로부터 삼채를 보호해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더위에 잘 자랄 수 있도록 하고 가뭄에도 잘 대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차광막을 치는 방법도 있습니다만 차광막을 치지 않고도 기를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그렇게 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따라서 가급적 개방된 곳보다는 산지나 구릉지에 의해 자연스럽게 햇빛이 차단될 수 있으면 좋습니다. 

                삼채가 해발 1,400m이상 고산지대 식물이므로 가급적 고도가 높은 지역도 삼채재배환경에 좋습니다.   

 

 

                            

 

                                   삼채종근은 2-4촉으로 분리해 심도록 합니다. 

                       잘 자란 종근 한 포기는 보통 15-30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한 포기에서 7-10쪽 정도로 

                       종근을 분리할 수 있습니다.  

 

 

                           

 

                   분리한 종근은 바람이 잘 통하도록 위와 같이  건냉 장소에 보관하도록 합니다.

                    

 

                           

 

                                   친환경 퇴비를 뿌리고 로터리를 친 후 일정 시간후에 식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발효가 끝나지 않은 생축분을 사용하는 경우 고자리 피해를 볼 수 있습니다. 

                  

 

                          

 

                       로터리는 가급적 깊게 치는 것이 좋으며 사질양토나 마사토 계열이 삼채재배에 적합합니다.

                    전국적으로 삼채는 잘 자라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만 관리와 뿌리성장면에서

                    더 적합한 토질이면 좋겠죠. 삼채는 부추계열의 다비성 작물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시기에 추비를 주는 것이 좋습니다.

 

 

                            

 

                                  로터리를 친 후 2주 정도가 지나면 멀칭과 함께 식재하도록 합니다.

                       멀칭을 안하고 기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만 풀관리를 위해 부득하게 멀칭을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멀칭을 하지 않으면 다량 재배시 잡초때문에 삼채가 잘 자라지 않습니다.

                            비닐 멀칭을 해도 5-6회 정도 잡초를 제거해 주어야 합니다.

 

                                     

                           

 

                     보통 25cm 정도의 간격을 둔 구멍에 삼채를 모종삽이나 나뭇가지를 이용하여 삼채 종근을 

                 심어줍니다. 종근을 심을 경우 물을 주지 않고 식재해도 이후 비를 맞게 되면 싹이 잘 올라옵니다. 

                 외부온도가 영상 15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약 2주 정도면 싹이 올라옵니다.  

 

 

 

 

                                

 

                            종근으로 심는 시기가 늦은 경우 위와 같이 모종을 식재하면 빠르게 성장하기 때문에 

                                 식재 시기를 놓치는 경우 모종 식재도 권장합니다.

                                 그리고 텃밭에 소량으로 재배하시는 경우에도 모종을 심는 것이 좋습니다.

                                 종근의 경우 종근에 따라 확착율이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심는 시기를 놓쳤다해서 삼채가 잘 자라지 않는 것은 아니고 다만 수확량이 감소합니다.

                                 보통 노지의 경우 4월 중순에 식재하면 6월 중순부터 잎삼채 수확을 할 수 있은 데

                                 15일 정도 늦게 심는 경우 7월이 다 되어야 1차 수확을 하는 경우를 말하겠죠.  

                                 크게 걱정할 일은 아닙니다.

 

 

                          

 

                                 싹이 올라온 후 기온의 상승과 함께 삼채는 무럭무럭 자라납니다. 싹이 났으면

                       삼채재배에서 1/2은 성공한 것입니다. 좋지 않은 종근이나 수입 종근의 경우

                       고사율 또한 만만치 않으니까요.

 

 

                           

                   1개월 정도 자란 모습입니다. 이 시기에 자라는 삼채를 보고 있으면 이쁘고 대견합니다.

                   

                        

 

                      중부지방의 경우 장마를 전후로 하여 삼채의 성장이 매우 빨라집니다.

                      그리고 이 시기에 1차 잎삼채 수확을 합니다. 

                      한 여름이 되면 폭염과 함께 삼채가 잘 성장하지 않으며 이 시기에 많이 고사하게 됩니다. 

                      멀칭관리나 그늘막 설치 등 환경에 맞는 적절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삼채재배의 성공은 폭염관리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6월에 수확한 잎삼채는  겉절이나 김치용으로 아주 좋습니다.

                       파김치보다도 깊은맛이 우러나오는 데 반찬으로도 그만이죠.

                       건강에도 좋고 맛도 좋은 삼채김치!!! 아 벌써 내년 6월이 기다려지네요...

                                            

 

                     

                           가을에 뿌리와 잎이 다 달린 삼채의 모습입니다.

                      삼채재배에 있어 뿌리와 잎을 동시에 잘 키우기는 쉽지 않습니다.

                      잎을 많이 자르다보면 뿌리의 성장이 더디고 그렇다고 잎을 자르지 않으면 뿌리의 분근이

                      더딥니다. 따라서 균형을 맞추면서 잎을 자르고 뿌리도 잘 자라게 하는 노하우가 필요합니다.

                      보통 공식적으로 8월말 이후에 잎을 자르지 않는 것으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어느 정도 검증이 된 방법입니다만 삼채의 용도에 따라 개별적으로 삼채의 잎과 뿌리를 관리하는

                      방법을 권장합니다.

 

 

 

 


삼채구입

***** 제천삼채농원 홈페이지 *****

http://www.청정지역-친환경재배-제천삼채.com/dnb/resource/main/index.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