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채성분시험성적서와 논문

농촌진흥청-삼채 “혈당․체지방 낮추고 뼈 건강 높인다”

어리실 2015. 9. 14. 10:18


 

 

 

삼채혈당․체지방 낮추고 뼈 건강 높인다

- 농촌진흥청, 동물실험으로 삼채 기능성 밝혀 -

 

삼채가 혈당과 체지방은 낮추고 뼈를 튼튼하게 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2010년 국내에 도입된 삼채는 모양과 맛이 어린 인삼을 닮아 蔘菜, 또는 단맛과 매운맛, 쓴맛 등 3가지 맛이 복합적으로 나기 때문에 三菜라고도 불리는 채소다.

최근 다양한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삼채 기능성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동물실험을 통해 국산 삼채가 혈당과 체지방은 낮추고 뼈 건강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음을 과학적으로 밝혔다.

 

□ 실험 결과, 삼채 잎과 뿌리를 가루로 만들어 실험식이에 3% 수준에서 섞어 당뇨에 걸린 쥐에게 8주간 먹인 후 혈당과 당화혈색소, 인슐린 수준을 측정했을 때, 삼채 잎을 먹은 쥐는 먹지 않은 쥐에 비해 혈당과 당화혈색소가 각각 31%, 41% 줄었으며, 혈중 인슐린은 2.3배 높아졌다.

또한, 삼채 뿌리를 9일 간 발효해 가루로 만들어 실험식이에 3% 수준에서 섞어 당뇨에 걸린 쥐에 먹인 결과, 삼채 뿌리를 먹지 않은 쥐에 비해 체중 12%, 체지방 18%,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는 13% 낮아졌다.

○ 삼채 잎의 알콜 이용 추출물을 골다공증이 진행되고 있는 흰쥐에게 먹인 결과, 뼈 강도는 35%, 뼈 밀도는 8% 높아져 뼈 건강 개선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농촌진흥청은 삼채의 혈당과 체지방 저하 우수성에 대해 6월(특허번호 10-2015-0079178, 10-2015-0081737), 뼈 건강 증진 효과에 대해 9월(특허번호 10-2015-0125496)에 특허출원을 했으며, 관련 내용을 생약학회지 3월호와 6월호에 논문으로 게재했다.

○ 이와 함께 삼채를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올해 임상실험을 준비하고 있으며, 삼채의 기능성에 대한 발명은 10월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을 통해 기술 이전할 계획이다.

 

□ 농촌진흥청 기능성식품과 이성현 박사는 “부위마다 다양한 기능적 효과가 있는 삼채는 균형 잡힌 식생활을 유지하며 먹는 것이 가장 좋고, 이를 보조하기 위한 다양한 제품과 맞춤형 식단을 개발해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겠다” 라고 말했다.

 

 

삼채 혈당‧체지방 낮추고 뼈 건강 높이는 기능성 구명

 

□ 연구 배경

국내외에서 삼채는 당뇨와 팔다리 통증 개선을 위해 민간에서 이용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가 부족한 실정

당뇨 합병증은 한국인 사망의 주요 원인이나, 혈당 강하제는 저혈당, 구토, 간 기능 손상 등의 부작용 우려로 안전한 천연식품 소재 개발이 절실한 실정임

골다공증과 골격계 약화는 노인 뿐 아니라, 갱년기 여성, 식생활이 불규칙한 젊은층에서도 문제되고 있음

 

□ 주요 연구 결과

국산 삼채 잎은 당뇨에 걸린 쥐의 인슐린 분비를 늘려 혈당을 낮추는 것으로 보임

 

 

 

발효한 삼채 뿌리는 당뇨에 걸린 쥐의 체중, 체지방,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을 낮추고 간 조직의 지방 입자 수와 크기를 감소

 

 

 

국산 삼채 잎은 골다공증 흰쥐의 뼈 강도와 밀도를 높였음

 

 

□ 기대 효과

국산 삼채 잎은 당뇨병 경계군과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조절하고, 노인 뿐 아니라 갱년기 여성과 뼈가 약한 젊은 층에서도 뼈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발효 삼채 뿌리는 체지방 감소나 체지방 축적 예방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임

○ 삼채를 이용한 다양한 제품 개발을 통해 삼채의 부가가치 향상과 농가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음

 

□ 앞으로 삼채 활용성 증진 방안

생리활성이 우수한 삼채의 안정적인 생산과 다양한 삼채 이용 제품 개발이 필요함

○ 삼채의 최적 재배 조건과 우수 품종 개발 연구가 요구됨

○ 삼채 뿌리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세척기 개발이 필요

 

□ 우리나라 삼채 재배 현황과 소비 형태

재배 현황: 

189만 7천 5백㎡(농촌진흥청 기술보급과, 2014.1) ⇒ 330만㎡(2015. 8, 추정)

소비 형태와 문제점

- 생체 72%, 가공품 28% 생체 소비 한계, 가공제품 개발 절실

- 여름철 삼채 잎의 유통 곤란 ⇒ 삼채 잎의 실용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