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병 막는 고기나물? 삼나물!
게시일 : 2012.04.30
현대인의 두려움! 성인병의 공격에 맞서는 효자 봄나물이 떴다!
주부들 건강걱정 타파해주는 삼나물의 비밀을 함께 알아보자
성인병 막는 고기나물? 삼나물!

물 좋고 공기 좋은 청정고랭지에서만 재배된다는 삼나물. 삼나물의 비밀은 바로 맛에 있다. 바로 고기맛이 난다는 것. 이른 봄에는 맛좋은 나물로 먹을 수 있고, 뿌리가 튼튼하기 때문에 제방이나 비탈면에 심으면 무너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삼나물은 1년에 딱 한번, 4월 중순에 수확을 하는데, 다년생 식물이기에 매년 봄이면 알아서 고개를 내민다. 요즘은 삼나물이 귀해서 한 관(3.75kg)에 6만원에서 7만원 정도로 고가로 팔리고 있다고 한다.

올해 처음 수확하는 삼나물. 대성리에선 삼나물이 산삼보다 더 귀하다고 한다. 산삼과 닮은 모습이라 붙여진 이름 삼나물! 인삼에 있는 사포닌까지 있어 건강에도 최고다. 동의보감에도 삼과 같다고 해 삼나물이라 부른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이다. 모든 독을 품고 시를 위로 끌어올리기 때문에, 특히 입안이 헐거나 인후가 아플땐 삼나물을 진하게 다려서 머금으면 치료가 된다는 기록이 있다.

삼나물은 음식재료 뿐만 아니라, 한의원에서는 약용으로도 쓰인다고 한다. 양기를 위로 끌어올리고, 열을 내리며 해독하는 성질이 있어서 한의학에는 두통, 인후통, 양기가 떨어져서 발생하는 자궁하수, 탈항(항문이 빠져나온 것) 등 아주 광범위한 질환에 사용한다.
또한 삼나물을 연구한 자료를 보면, 사포닌 성분과 단백질이 풍부하고 성인병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한다.

삼나물은 파종하고 3년이 지나야 수확이 가능하다. 노지에서 야생상태 그대로 자라기 때문에 그야말로 무농약 청정 나물이라 할 수 있다.

이번엔 삼나물이 고기나물 로 변신하는 순서다. 갓 딴 싱싱한 산나물을 봄볕에 3일 정도 말리면, 꼬들꼬들 쫄깃쫄깃한 소고기 맛이 나는 ‘고기나물’이 된다. 맛도 맛이지만 이렇게 말리는 이유가 또 있다. 원래 삼나물은 1년에 한 번 수확하기 때문에 삼나물을 말려서 저장해 놓으면 1년 내내 먹을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세 가지 맛이 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삼나물! 그만큼 요리도 다양하다. 삼나물에 들기름과 소금간을 해서 고슬고슬하게 삼나물밥을 지어도 좋고, 꼬지에는 고기대신 말린 삼나물을. 또한 갓 딴 삼나물을 튀겨먹어도 아삭아삭한 맛이 일품이다.

삼나물을 골뱅이, 오징어와 함께 초고추장으로 무쳐주면 술안주로 제격인 삼나물무침이 완성된다.
온 가족이 좋아하는 삼나물 요리
이번엔 삼나물을 이용해 특별한 요리를 만들어보자.
사포닌이 듬뿍! 수험생을 위한 삼나물 스프

삼나물 수프 만들기
재료 : 삼나물, 양파, 마늘, 우유, 생크림, 밀가루, 버터
① 삼나물을 끓는 물에 살짝 데치고 잘게 썰어준다
② 버터와 양파, 마늘을 넣고 양파가 갈색 빛이 돌때까지 볶아준다
③ 삼나물과 밀가루와 버터를 녹인 베이스를 넣고 물을 넣어 끓인다
④ 믹서기에 우유를 넣고 갈아준다

삼나물은 쌉쌀한 맛이 나기 때문에 아이들이 잘 먹지 않는데, 수프로 끓여주면 담백하고 고소해 아이들도 부담없이 먹을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조리 마지막에 단백질을 보완하기 위해 우유를 넣으면 영양도, 맛도 한층 업그레이드 된다.
온가족이 좋아하는 삼나물 무침

삼나물 무침 만들기
재료 : 삼나물, 땅콩버터, 식초, 고춧가루, 닭가슴살
① 땅콩버터와 식초에 고춧가루를 넣고 묽지 않을 정도로 섞는다
② 양념에 닭가슴살을 넣고 삶은 삼나물을 먹기좋은 크기로 잘라 무쳐준다

삼나물은 비타민C와 사포닌 등 몸에 좋은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지만, 쌉싸름한 맛 때문에 단백질 함유가 많은 재료가 잘 어울린다. 삼나물 무침에 고소한 땅콩버터를 더해주면 달콤하면서도 고소한 맛이 나서 온가족이 맛있게 먹을 수 있다.
봄에 살짝 데쳐 먹으면 향긋한 내음에 반하는 봄나물의 제왕!
봄타는 입맛 살려주는 삼나물로 맛과 함께 건강도 잡아보자.
출처 : 보건의료인들의모임
글쓴이 : 피터펜 원글보기
메모 :
'눈개승마(삼나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개승마(삼나물)밭 (0) | 2012.09.03 |
---|---|
눈개승마(삼나물) (0) | 2012.08.03 |
아직도 나고 있는 눈개승마 새싹 (0) | 2012.07.10 |
눈개승마와 가뭄 (0) | 2012.07.10 |
눈개승마 식재후 4주차 (0) | 2012.07.10 |